티스토리 뷰

뇌종양은 뇌에서 자라는 불필요한 세포덩어리를 지칭하는 말로서 기본적으로 원발성과 전이성 뇌종양의 2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전자는 뇌 자체에서 시작된 것이고 후자는 몸의 다른 부위에서 머리로 퍼진 것을 말합니다.



종류

원발성 뇌종양

원발성 뇌종양은 교모세포종이나 교세포종, 수모세포종, 상의세포 등이 예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양성과 악성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양성 뇌종양

매우 느리게 자라는 종양으로 대개 경계가 명확하고 드물게 주변 조직으로 침윤됩니다. 현미경하에서 보면 거의 정상 소견을 보이는데 이런 형태의 종양은 수술적 제거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양성뇌종양 일지라도 종양의 위치에 따라 매우 위험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뇌간과 척수내의 종양은 수술로 제거가 불가능합니다. 이런 특정부위에 생긴 종양은 종양이 작더라도 생명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뇌와 척수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고, 조직학적으로 양성이지만 임상적으로는 악성과 같습니다.


악성 뇌종양

대개 빠른 성장속도를 보이며 침습적이고 생명에 매우 위협적입니다. 간혹 악성 뇌종양은 뇌암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원발성 뇌종양은 아주 드물게 뇌나 척수 외의 장기로 침습되므로 일반적인 암의 정의에는 부합되지 않습니다. 이들은 주위조직과 명확하게 경계가 지워지지 않는 경우가 많고 뇌척수액을 통하여 다른 뇌조직이나 척수조직으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이성 뇌종양

다른 장기에서 발생한 암이 뇌로 가서 증식하는 것을 전이성 뇌종양이라고 하며 폐암, 유방암, 대장암, 또는 피부암이 혈류를 따라서 뇌로 전이가 잘됩니다.


위험인자

위험인자란 개개인에 있어서 암을 포함한 질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높이는 인자를 말하며 여기에는 흡연과 같이 조절이 가능한 인자가 있는 반면에 나이, 가족력과 같은 조절 불가능한 인자도 있습니다. 비록 위험인자가 질병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직접적으로 질병발생에 영향을 주는지는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면 여러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더라도 반드시 뇌종양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위험인자가 없더라도 뇌종양이 발생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됩니다. 뇌종양과 연관이 있는 위험인자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알려져 있습니다.

 

나이: 어른과 어린이의 두 그룹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성별: 남성이 대체적으로 여성보다 신경교종의 발생빈도가 더 높으며 뇌수막종 같은 경우는 여성이 더 높습니다.

직업적 노출: 솔벤트나 농약, 석유제품, 고무, 염화비닐, 이온화방사선에 직업적으로 노출이 빈번한 사람은 발생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 Von Hippel-Lindau disease, Turcots syndrome, 신경섬유증

( Neurofibromatosis, NF )이 뇌종양의 빈도를 높입니다.


바이러스 감염 엡슈타인 바 바이러스(EBV)의 감염일 경우 중추신경림프종 발생율이 높습니다.

인종: 백인에게서 신경교종의 빈도가 높으나 뇌수막종은 흑인에 비해 낮은 빈도를 나타내며 일본의 악성뇌종양의

발생빈도는 북유럽의 절반에 불과하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흑색 염색약: 뇌종양의 강력한 원인인자로 의심이 됩니다.


주증상

뇌종양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므로 증상이 있을 때 조기에 전문의의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의 증상들이 있을 때는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


머리가 자주 아플 때 (특히 자고 일어난 아침)

오심과 구토를 동반한 두통

시력저하, 시야장애

청력저하, 귀울림

언어장애, 운동장애, 보행장애, 감각이상

유즙분비, 무월경, 성기능 저하

성격이나 무드가 변했을 때

사고능력이나 학습능력이 떨어질 때

간질증상이 있을 때 (경기를 했을 경우)

명칭과 등급

뇌종양의 명칭

뇌종양은 일정한 분류체계에 따라 명명이 되고 진단이 되는데, 근래 대부분의 의료기관은 세계보건기구(WHO)의 분류체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뇌종양의 등급

뇌종양의 등급이란 종양의 악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WHO(국제보건기구)의 분류체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분류가 됩니다.


I 등급 뇌종양

성장속도가 늦다.

현미경하에서 거의 정상소견을 보인다.

최소의 악성도를 보인다.

대개 장기간의 생존률을 보인다.

II 등급 뇌종양

상대적으로 성장속도가 늦다.

현미경하에서 약간의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인다.

주위 정상조직으로 침윤해 들어갈 수 있다.

악성으로 변환할 수 있다.

III 등급 뇌종양

활발하게 비정상적인 세포를 생산한다.

현미경하에서 비정상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주위 정상 뇌조직으로 침윤해 들어간다.

재발할 수 있으며 대개 더 악성인 형태로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IV 등급 뇌종양

성장속도가 빠르다.

현미경하에서 매우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인다.

신생혈관을 많이 형성하여 빠른 성장속도를 유지한다.

조직의 중앙에 괴사된 조직이 보인다.

진단을 위한 검사

신경학적 검사

이학적 검사를 포함한 신경학적 검사를 통하여 뇌종양이 의심이 되면 추가검사를 하게 됩니다.


전산화 단층촬영 (CT, Computerized Tomography)

몸 속의 구조물들을 여러 장의 섬세한 사진으로 보여주며 여러 각도로 볼 수 있습니다. 사진은 X-ray 기계와 연결된 컴퓨터에 의해 조합되어 작성되며, 조영제는 좀더 명확한 영상을 얻기 위해 정맥 내 주사로 투여하여 찍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장과 라디오파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뇌와 척수신경의 섬세한 영상을 얻는 시술로서 가도리늄(gadolinium)이라는 물질을 환자의 정맥을 통하여 투여하기도 합니다. 이 가도리늄은 종양주위에 축적이 됨으로써 더 밝은 영상을 볼 수 있게 하여 진단의 정확성을 높입니다.


자기뇌파영상검사 (MEG : Magnetoencephalography)

신경전달과정에서 신경세포에 의해 발생되는 조그만 전기적 흐름을 측정하는 것을 자기뇌파검사라고 하며 신호를 기록하는데 물리적인 접촉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다른 검사와 조합하여 뇌의 특정부위의 기능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양성자 방출 단층촬영검사(PET scan, Positron-emission Tomography Scan)

양성자 방출 단층촬영검사(PET scan, Positron-emission Tomography Scan) : 방사선 물질을 결합한 당 분자를 몸에 주입하여 촬영하게 되는데 이는 암세포가 정상세포보다 당 소비를 더 많이 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이 검사는 의심되는 종양의 뇌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

송과체나 뇌하수체 종양을 의심할 만한 여러 표지자를 검색하는데 사용됩니다.


요추천자

비침습적인 검사로 뇌의 전기적 활동성을 알아보는 검사입니다.


뇌파검사 (EEG, Electroencephalography)

의사가 뇌척수액을 허리뼈 부근에 침을 이용하여 뽑아서 검사를 할 수 있는데, 뇌척수액분석을 통해 암세포가 있는지, 혈액이 있는지, 종양표지자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정위적 뇌수술 또는 생검 (Stereotactic Neurosurgery or Biopsy)

뇌종양은 수술로서도 진단이 되거나 제거가 됩니다. 만약 뇌종양이 의심이 되면 두개골의 일정부분을 제거하거나, 바늘(침)로 뇌조직의 일부를 떼어내어생검을 시행할 수도 있는데 병리의사들이 이렇게 얻어진 조직으로 현미경을 통하여 세포를 검색합니다. 만약 암세포가보이면 같은 수술을 하는 동안 가능한 많은 종양을 제거를 할 수 있으며 수술 후 종양이 남아있는지 볼수도 있고 종양의 등급을 정하기 위해 검사할 수도 있습니다.



댓글